Saturday, March 20, 2010

"space and time for thinking and reflection" on the mobile platform

오늘은 오랫만에 집에서 뒹굴며 Google Reader로 구독해놓고 미처 못 보았던 밀린 포스팅들을 보았다.

눈에 자주 걸리는 토픽 중 하나가 애플, 아이폰과 구글폰, 모바일 시장, 아이패드 등에 관련된 포스팅..
그 글들을 쭉 읽다가 문득 작년 가을에 읽었던 페이퍼가 생각이 났다.



David M. Levy.  "To grow in wisdom: Vannevar Bush, information overload and the life of leisure," JCDL '05: Proceedings of the 5th ACM/IEEE-CS Joint Conference on Digital Libraries, 2005, pp. 281-286.

Hypertext 수업의 reading material 중 하나였는데, 내가 찾은 대략의 키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 Vannevar Bush hoped that future tools that reduce information overload and promote information synthesis, that would allow humanity truly to encompass the great record and to grow in the wisdom of race experience
  • However, development of personal digital information systems and global hypertext seem not to solve the library problem, but exacerbated it.
  • More of the record is broadly available to us than ever before, but there is less time to think, to reflect, to absorb, to muse, and to make use of it.
  • Ratio vs. intellectus. The tool Bush envisioned is for ratio, but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tool, it seems that we failed to leave room for, let alone to acknowledge, intellectus.
  • Today’s manifestation of information overload will require not just better management of information but the creation of space and time for thinking and reflection, an objective that is consonant with Bush’s original aims.

얼핏 기억하기로, 이 페이퍼의 저자는 computer scientist가 아니라, psychologist 라고 교수님이 말씀하셨던 것 같다.
이 페이퍼의 주요 theme은 information overloading. 이 페이퍼가 흥미로운 점은 computer scientist들이 주로 바라보는 정보의 분류와 활용 측면이 아니라 '이 세대에 넘쳐나는 정보들을 우리가 받아들이고 새로운 무언가에 반영할 수 있도록 충분히 소화하는가'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사실이다.

그가 주장하는 바에 의하면, 바네바 부시가 제안한 memex 의 궁극적인 이상은 과거로부터 쌓여온 정보를 잘 정리하고 분류하고 활용함으로써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함이었다. 하지만 아무리 인덱싱 기술이 과거보다 발전했어도, 정보가 하루가 다르게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이와 같은 시대에, 쌓인 정보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하는 library problem은 여전히 on-going problem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이러한 정보 자체의 관리도 중요하지만, 사람들이 받아들인 정보들를 어떻게 소화해서 재창조로 이어질 수 있을지가 우리가 생각해야 할 또 하나의 중요한 문제라는 것이다.



모바일 산업 시장에선 이제 막 전쟁이 시작이 되었고, 앞으로의 소비자들은 모바일 플랫폼의 특성상 웹에서보다 좀 더 personalized 된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수월하게 받아보게 될 것이라 생각된다. 문제는 'space and time for thinking and reflection'이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세상에서 '본인 스스로의 생각을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이 가능할까? 난 솔직히 조금 회의적이다.

Internet이 등장한 이후, 사람들의 '읽기' 패턴은 '정독'보다는 '대충 훑어보는 식'으로 변하는 듯 하다. Hypertext는 사람의 생각이 뻗어 나가는 방식을 따랐기 때문에, 관련 정보를 쭉쭉 따라가서 원하는 정보를 찾는 것에는 분명 도움을 줄 것이다. 그렇다면 reading의 다음 단계인 thinking & reflection은?

내 개인적인 경험에 비추어 말하자면, 인터넷이 만연한 환경에서 thinking & reflection 은 힘이 드는 일인 듯 하다. 인터넷에 익숙해 진 다음부터는 무슨 궁금한 것이 생기면 인터넷부터 찾는것이 문제라면 문제다. 특히 공부의 경우에 있어선 순차적으로 목차를 따라가며 읽어야 하는데, 중간에 조금이라도 궁금하면 쪼르르 달려가 인터넷 검색부터 해대니 흐름이 자꾸 끊기는듯한 느낌을 많이 받았다. 목차에 따라 순차적으로 쭈욱 들어오는 정보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결국엔 큰 그림이 보여야 하는데, 인터넷 검색 혹은 하이퍼링크를 따라가고 싶은 유혹을 뿌리치고 거기까지 가기가 참 힘이 든다.

웹 환경도 '학습'에 있어서 위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이 드는데, 모바일은 오죽할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모든 기기들이 우리의 삶을 조금 더 편리하게 도와주는 하나의 '수단'이 되어야지, '의존'이 되면 안 될텐데, 스마트폰을 비롯한 그런 모바일 기기들이, '짜투리시간의 활용'을 빙자해서 우리를 자꾸 기계 의존적이게 만들고진 않은가 생각해보게 된다. real-time이라 편리하다는 점을 내세워, 오히려 우리에게 필요한 thinking & reflection time을 더 방해하고 있진 않은지, 생각해보려는 노력 없이 검색엔진에 자꾸 의존하게 되진 않는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Apple의 iPad의 경우 어린이들을 위한 교육용 디바이스로 쓰일 수 있다고들 하는데, 위와 같은 의미에서 보면 적절한 사양의 제한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참고로 다음은 내가 위의 페이퍼를 읽으면서 생각했던 것들.
  • In the use of Hypertext related technology, how do we make space and time for reflection and contemplation? What can those be in the cyberspace?
  • Any relationship between users’ behaviors on the web resource, and lack of reflection time?
  • In the sense of lack of reflection time, do you think Wikipedia-like systems can be effective tools for education?
  • How can systems provide right information to right person, so some of information cannot be regarded as spam?
  • How can we take (or apply) the concept of ‘Attention’ into the hypertext system?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