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web.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web. Show all posts

Wednesday, March 16, 2011

내게는 어글리한 롯데삼강 웹사이트

오랫만에 RSS reader를 보다가 롯데삼강 웹사이트를 리뷰한 블로그 포스팅을 보게 되었다.
블로거닷컴에서 트랙백을 제공 안해서 원문 링크를 그대로 건다.

이 웹사이트는 스토리텔링적인 면을 강조하였고, 3D적인 디자인으로 보다 나은 UI/UX를 제공한다는 게 주요 요지인 듯 하다. 참고로 이 웹사이트는 최근에 무슨 웹어워드에서 대상을 받았단다.
그러거나 말거나.. 어쨌든 나는 여기서 이 웹사이트에 대한 비판을 좀 해보려고 한다.

내가 이 웹사이트를 보고 제일 먼저 떠오르는 생각은... '이쁜것에만 관심을 뒀구나'.... 이다.

내가 제일 싫어라 하는 플래시로 도배를 하고 있다.
네비게이션 메뉴... 이미지 롤오버로 충분히 처리할 수 있었을 것을 플래시로 처리했다.
심지어 컨텐츠의 텍스트조차 모두 이미지로 처리되어 있다.
움직이지 않는 정적인 이미지를 굳이 이미지로 만들고, 그 이미지의 일부에 링크를 걸기 위해서 쓰지 않아도 될 스크립트를 쓰고 있다.

이 웹사이트는 과연 누구를 audience로 두고 운영하는 웹사이트인걸까?
이 웹사이트는 왜 만든 것일까?
보다 나은 UX를 제공한다고 하면서, 과연 이 웹사이트 PM은 기본적인 웹접근성은 제대로 고려를 하고 이 웹사이트를 만든 것일까?

롯데삼강에서 새로 개발한 '채미소'라는 제품이 있다고 한다.구글에서 '롯데삼강 채미소'를 검색하면, 롯데삼강 웹사이트 내에 있는 채미소 페이지가 제일 먼저 나와야 정상이 아닌가? 그런데 네비게이션 메뉴까지 모두 플래시로 처리해버린 이런 웹사이트에서는, 아무리 훌륭한 구글 봇이라도 채미소 페이지를 크롤링 해갈 수가 없다.
어쩌다 운이 좋아(?!) 링크 봇이 링크 url을 찾았다고 치자. 그럼 구글에서 이 페이지의 정보를 제대로 저장해갈 수 있을까? 모두 다 이미지로 처리된 컨텐츠를 봇이 무슨 수로, 어떻게 긁어갈 것인가? 설마 이미지 태그 안의 alt의 내용을 긁어가길 바라는 건 아니겠지? -_-;

이런 방식으로 만들어진 웹사이트는 그 안에 아무리 많은양의 훌륭한 컨텐츠가 있다고 해도, 검색 엔진이 찾을 수 있는 건 <롯데삼강닷컴이라는 웹사이트의 메인페이지>. 그 이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롯데삼강이 홍보를 위해 이 웹사이트를 만들었다면 (뭔가 세련되어 보이는 웹사이트로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고 싶어서 만들었다면) 기본적인 검색 접근성부터 보장해야 하는 것이 순서 아닐까? 검색되지 않는 웹사이트를 사람들이 무슨 수로 와서 찾아와서 볼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플래시를 쓰면 아주 멋있어 보이고 세련된 모양의 웹사이트를 가질 수 있지만, 사실 웹 개발자들이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현재 나오는 기술에 대해서 공부를 하면 플래시를 굳이 쓰지 않고도 이쁘면서도 접근성도 뛰어난 웹사이트를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실제로 미국의 웹사이트들에서는 배너 광고 이외에는 플래시를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미지 슬라이드나, 동적으로 움직이는 메뉴를 위해 자바스크립트 관련 기술을 사용하는 곳이 많다. 레이아웃이나 텍스트를 꾸미기 위한 처리는 대부분 css로 해결한다. 이렇게 얼마든지 간단하고 가볍게 처리할 수 있는 것들을 그렇게 빙빙 돌려 어렵게 만들 필요가 있나...


또 한가지 이 회사의 웹사이트가 간과하고 있는 것은 모바일 기기에서의 접근성이다. 그들이 애써서 만든 이 웹사이트가 미안하지만 내 스마트폰에서는 그리 멋있게 보이지도 않을 뿐더러 사용하기도 어렵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범람하고 있는 이 세대에, 설마, 이 프로젝트를 만든 분들은 이 웹사이트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각자의 집에서 컴퓨터 앞에 얌전히 앉아 그들의 웹사이트를 제대로 경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건 아니겠지?


웹사이트는 미술관에 소장된 전시용 작품 같은 것이 되어선 안된다.

Thursday, March 25, 2010

ijji.com

NHN USA Inc.와 인터뷰를 했다. Web Developer position.
화요일에 인터뷰를 하기로 스케쥴을 잡았었는데, 언니집에 있던 구형 웹캠이 MSN Messenger의 video call에서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아 헤매다가, 결국 양해를 구하고 수요일로 날짜를 옮겼다.
근데 구두로 날짜를 변경하다보니, 어제 그 쪽 인터뷰하시는 분께서 인터뷰를 깜빡-_- 하셔서 메신저에서 한참을 기다려야했다는...;;; 저녁이 다 되어서야 연락이 와서 결국 인터뷰를 하긴 했다.

지원한 포지션이 웹 개발이라, 메신저에서 interviewer를 기다리는 동안 ijji.com을 훑어보았다.
아래는 내가 ijji.com 웹사이트를 둘러보고 느낀 점들이다.

일단 웹사이트 전반적인 분위기는 굿! 단순히 파랑색을 베이스로 한 Nexon America 웹사이트보다는 더욱 더 게임회사 웹사이트같은 분위기를 풍기고 있었다. 최근 뉴스에서 하드코어 게임을 주력으로 하겠다고 한 기사를 보았는데, 그러한 회사의 전략도 웹사이트 디자인에 잘 반영된 느낌이었다.

하지만 웹사이트 functionality에 있어서는 몇 가지 이슈가 있었는데, 내가 찾은 이슈들은 다음과 같다.

1.  logout.nhn 페이지가 정말 필요한가?
ijji.com 웹사이트에 로그인을 했다가 로그아웃을 하면, logout.nhn 이라는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이 logout.nhn 페이지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버튼을 보여준다.
난 이 logout.nhn 페이지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Sign In 페이지는 로그인을 위한 페이지이고, ijji Home 페이지에도 로그인 모듈이 들어있다. 다시 로그인을 하기 위함이라면 둘 중 아무거나 눌러도 상관이 없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한 가지 실험을 했다. 로그인을 한 다음, 홈페이지가 아닌 다른 페이지(예를 들면 Help 페이지)에서 로그아웃을 하고, 위와 같은 logout.nhn 페이지가 나오면, 다시 Sign In 버튼을 눌러 로그인을 했을 때, 과연 내가 아까 로그아웃을 했던 그 페이지로 이동을 하는지... 만약 그렇다면 이 logout.nhn 라는 페이지의 존재가 어느정도 타당하니까... 그런데 결과는... 개발자의 의도가 무엇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실험했을 때 위의 페이지에서 Sign In을 누르고 로그인을 하면 ijji Home 페이지로 이동한다.

이 logout.nhn과 관련해서 한가지 더 덧붙이자면,
어차피 옵션이 ijji Home과 Sign In 두가지 밖에 없다면, logout.nhn에서 사용자의 인풋이 일정시간 동안 없을 때 (가령, 30초), 페이지가 자동으로 ijji Home 페이지로 이동하게끔 해놓았다면 좋았을 것 같다. 그러면 적어도 게임 캐릭터 이미지에 대한 노출이라도 조금 더 하게 될지도 모르니 말이다.


2. Help 페이지는 로그인한 유저만 사용하는 페이지인가?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로 웹사이트를 돌아다니가다, Help 페이지로 갔는데, 로그인 모듈이 화면에 떴다. 솔직히 조금 당황. 게임 회사라 대부분의 Help들이 게임 관련 질답이긴 할텐지만, 게임 이외의 부분에도 사용자 궁금증이나 불만이 있을 수 있으니, 로그인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어느정도 이용가능한 페이지여야 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3. Web browser compatibility issue
나는 주로 Google's Chrome 브라우저를 이용한다. Chrome으로 ijji.com을 살펴보았는데, 대부분의 페이지들이 제대로 보이고 펑션들도 제대로 작동했는데, 일부 모듈이 깨져서 나오는 현상을 발견했다.
Web browser compatibility test를 주로 시장점유율이 높은 브라우저 위주로... IE나 Firefox에서 테스트를 했었던 듯 하다. 나도 주로 그렇게하니까... 모든 브라우저에서 다 제대로 보이는지 테스트하기가 조금 번거로울 수 있다는 것 이해한다. 하지만 Google Chrome 브라우저가 작년에 나온 이후에 시장점유율이 계속해서 높아져가는 시점에서, 게다가 미국 시장을 타겟으로 하고 있다면, Chrome까지는 browser compatibility test를 해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4. 로그인 모듈에서 tab 키로 이동시에 문제점
ijji Home 페이지에 들어있는 로그인 모듈과, login.nhn 페이지에서 tab 키를 이용해서 이동을 할 때, 포커스 이동이 약간 중구난방인 느낌. 심지어는 [Sign In] 버튼에는 포커스도 가지 않고. tab focusing과 index에 대해서 별로 신경을 쓰지 않은 듯 하다.


사소한 것 같으면서도 사소하지 않은 이슈들이다.
멋진 웹사이트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이런 사소한 Usability 이슈들이 웹사이트에 대한 신뢰성을 깎아먹을수도 있다. NHN USA Inc.가 온라인 게임 회사를 지향하고 있고, 따라서 웹 사이트가 유저들에게 단순히 한 번 보고 지나가는 웹사이트가 아닌 만큼, 단순히 디자인과 기능들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사소해보이는 Usability 에도 조금은 신경을 썼으면 하는 바램이다.

인터뷰는... 그 분이 하시는 테크니컬한 질문에 제대로 대답하지 못해서, 통과될지 안될지 모르겠지만ㅠㅠ
어쨌든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한다. -- 나 한 동안 너무 놀았다. 공부해야겠단 동기부여가 생기고 있음ㅋㅋ

Monday, February 8, 2010

6식형 서비스

김중태님이 쓰신 모바일 혁명이 만드는 비즈니스 미래지도를 읽다가 다음과 같은 구절을 읽었다.
눈으로 바로 현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6식형 서비스는 사람의 판단을 돕는 것이다.

6식형 서비스가 무언인지 몰랐던 난 바로 인터넷 검색을 했다.


네이버 검색에서 만족스런 답을 얻을 수 없어, 구글링을 한 결과, 김중태님이 2007년에 기고하신 칼럼에서 답을 얻을 수 있었다.
웹도 오프라인 생활처럼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맡고, 혀로 맛보고, 몸으로 감촉을 느끼는 서비스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 5식을 제어하는 6식이 뜻인데, 6식을 만족시키는 서비스일수록 오프라인 일체형 서비스가 될 수 있다. 쉬운웹의 방향에 의해 웹사이트가 6식형 온라인 서비스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즉, 쉬운 웹을 위해서는 눈, 귀, 코, 혀, 몸, 뜻의 여섯가지 감각 기관을 이용할 수 있는 6식형 감각을 구현하는 웹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

김중태님은 그의 칼럼에서 다음과 같은 부연설명을 하고 있다.

구글 지도(http://maps.google.com/)가 보여준 것처럼 실제 지형과 건물을 눈으로 보는 지도 서비스는 부동산, 유통, 일상의 만남 등을 모두 변화시킨다. 구글지도에서 위성사진과 결합된 Hyblid 차림표를 이용하면 해당 지역에 가지 않고도 집 주변 환경을 알 수 있다. 부동산거래도 택배도 구글지도를 활용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공개API와 혼합(mash-up) 서비스의 확산도 6식형 서비스 확산을 돕는다. 맵와우(http://mapwow.com/)는 구글지도 API를 이용해 ''World of Warcraft'' 게임의 지도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토론토 고속도로 정보(http://toronto.ibegin.com/traffic/)를 이용하면 해당 지역의 도로상황을 지도와 사진을 통해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현재까지 나온 GPS 장치가 앞으로 갈 길을 단순 표시하는 것에 그치는 반면, 토론토 고속도로 정보 서비스는 앞의 도로에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6식형 웹서비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구글지도를 이용해 Ontario 특정 지역의 술집 정보(http://www.beerhunter.ca/)를 보여주는 사이트도 만들 수 있고, 미국 지역의 주요 기업 AS 센터를 보여주는 워랜티맵(http://www.warrantymap.com) 사이트를 만들 수도 있다. 모양과 색깔을 이용해 플릭커에서 비슷한 사진을 찾아주는 retrievr(http://labs.systemone.at/retrievr/) 사이트나 컬러피커(http://krazydad.com/colrpickr/) 사이트도 공개API를 활용한 혼합 서비스의 방향을 잘 보여준다.

 

e비즈북스라는 또 다른 블로그에서 '6식형 쇼핑몰의 UI'라는 글을 통해 6식형 서비스의 컨셉을 좀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다. 이 블로그에서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쇼핑몰 UI의 대세는 눈으로 보고 바로 확인할 수 있는 6식형 쇼핑몰 


동영상 광고, 맞춤형, Full HD스크린, 3D 쇼핑몰 등의 UI는 언젠가 대중화되겠지만 당장 2~3년 이내에 대중화될 수 있는 기술은 아니다. 당장 대중화될 기술은 아무래도 2D를 이용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쇼핑몰 UI 쪽에서 변화가 거의 없지만 해외 쇼핑몰 쪽에서는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단순한 실험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고객들이 좋아할 수밖에 없는 UI를 선보이고 있기 때문에 국내 쇼핑몰에서도 결국 도입할 수밖에 없는 UI들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중 가장 많이 보이는 것은 아무래도 눈으로 보이는 사용상의 편리성이고, 대부분은 시각적으로 즉석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6식형 UI를 채택하고 있다는 흐름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