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May 16, 2010

운전 중 잡념... Personal Archives

운전을 하고 집에 오는 길이었다. 그렇듯 시카고 다운타운을 나서는 I-90/94 오헤어 근처 I-294 막힌다. 때리며 운전하다가 문득 지지난달에 했었던 로드트립 생각이 났다.


지지난달, 그러니까3월에 텍사스-뉴욕-시카고의 루트로 로드트립을 했다. 그러면서 경계마다 차를 세워 표지판을 배경삼아 사진을 찍었다. 그거라도 해야 의미가 있을 같았다. 면적이 넓은 주를 지나갈 때엔 시간을 꼬박 달려야 주를 지날 있을 때도 있었고, 여러 개의 작은 주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동부쪽을 지날 하루에 개의 주를 지나기도 했다.

그러다보니 어떤 주에서는 이쁜 사진을 여러장 찍을 있었고, 어떤 (특히 웨스트 버지니아주) 같은 경우에는 밤에 지나다가 visitor center에서 잠깐 내려서 사진만 후다닥 찍고 다시 차에 타기도 일쑤였다. 그런 경우엔 밤이기도 했고,   급하기도 하고 했던터라 사진의 품질은 그닥 -_-;;;

사진의 양이 대략 200장쯤 되었는데, 싸이월드에 절반 올리고 다음엔 힘들어서 잠정 포기상태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사진들은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고히 잠들어있는데, 내가 어디 블로그나 페이스북  따위에 포스팅하지 않는 영원히 하드디스크에서 고히 잠자고 말거란그런 생각. 그러면서 예전에 어릴 디카로 열심히 찍어대긴 했으나, 빛을 보지 못한 벽장 구석 어느 DVD 안에서 쿨쿨 자고 있을 사진들도 생각이 났다.

사진기를 들고 다니고 열심히 찍는다 한들 그걸 내가 나중에 다시 본다거나, 혹은 다른 사람이랑 공유하고 있지 않는다면 그리 소용이 있을까. 많은 사진들,  보지도 않을거면서 이상하게 나온 까지 DVD 고대로 굽혀서 보관되어 있다. 다른 것들도 마찬가지다. 학교에 다닐 학기가 마치면 동안 수업했던 자료들이며 레포트며 폴더별로 정리해서 백업을 받아두었다. 어쩌다 한번씩 하드 드라이브를 포맷하고 OS 새로 설치하려고 , 평소에는 열어보지도 않던 파일들도 알뜰히 백업을 놓는다. 그리고 파일들을 다시 일은 아마 거의 없었던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그런 데이터 백업에 집착을 하는 것일까. 하드를 백업하고 다시 DVD 구워놓고정작 구워놓은 DVD 나중에 다시 꺼내어서 일도 없을거면서 그런걸까? 단순히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는 걸까? 아님 그런 식으로라도 내가 살았었노라는 증거를 남기고 싶어서 그러는 것일까? 그것도 아니면 일종의 소유욕으로 해석해야할까? 만약의 경우를 위한 것이라면, 파일들을 너무 마구잡이로 싸잡아 넣는 것 같고. 소유욕으로 무작정 모아서 보존하기에는 쓸모없는 정보의 양이 너무 많은 것 같다.


개인 데이터 백업 자동화툴이 있으면 좋겠다. 비슷한 아이템들은 묶을 수 있고 버전관리까지 해줄 수 있으면 더 좋겠다. 조금 더 나아가자면, Xanadu 프로젝트처럼 아이템간 링킹이 자유자재로 제공되고, 태킹은 물론 가능하면 좋겠고. 파일의 중요도에 따라서 분류가 자동적으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어야겠고. 궁극적으로는 여러가지 다른 파일 타입을 가진 정보들이 서로 링킹될 수 있으면 좋겠다. 그게 자동화툴로 가능하게 되려면 시맨틱 기술이 아주 발전되어야하지 않을까...?!


 


운전해서 집에 오는데, 중간에 형부까지 태워왔더니 거의 1시간 반만에 집에 들어왔다.

그래도 오늘은 이런저런 생각하느라 운전이 덜 지루했다. 사실 이것 말고도 다른 생각 많이 했는데 오다가 다 까먹었다. 어쨌든 재밌었다.

 

Tuesday, May 11, 2010

[TED] Tim Brown on creativity and play


디자이너 Tim Brown이 창의력와 놀이에 대해서 TED 강연한 동영상이다.
번역은 다 했는데, TED 동영상 번역은 다른 사람이 리뷰를 해야 정식으로 퍼블리시가 되기 때문에
TED 웹사이트에서는 아직 한국어 자막을 볼 수 없다. (초벌 번역한 동영상을 dotSUB 에서 볼 수 있긴 하다)


이 동영상을 번역하면서, 조카들의 행동 하나하나를 세심하게 보는 습관이 생겼다.
며칠 전에는 소파에 앉아 있는데 작은 조카가 옆에 와서는,

"달님, 레인보우, 달님, 레인보우, 달님, 레인보우..."

혼자 중얼거리기 시작했다.
무슨 소리를 하는가 싶어 쳐다봤더니, 바나나를 들고 눕혔다 세우기를 반복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텔레폰! (^_^) 이모 이거 까줘!"

가지고 놀던 바나나를 까 달라고 내게 내민다.

그 모습이 어찌나 귀여운지...
바나나 하나로도 그렇게 웃으며 놀 수 있다니... 신기하기도 하고.

아이들에게서도 배울 수 있는 것이 많음을 느끼는 요즘이다.
'어린 아이라서 모를 것이다'라며 무시할 게 아니다.
그 작은 머리속에는 자기만의 세상이 돌아가고 있다. 그 세상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다이내믹하다. 바나나 하나가지고 우리보다 훨씬 많은 생각을 해낸다.


Tim Brown의 TED 강연은 창의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아이처럼 놀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물론 어른인 우리는 실용적인 관점에서, 생산력 향상을 위해 놀이를 사용하겠지만은,
어쨌든, 어른인 우리에게도 놀이가 필요하다. :)

검색엔진, 트위터, 그리고 그 이후

검색엔진의 한계와 그 한계를 극복하는 트위터라는 글을 보았다.
대략, 현재 검색엔진에는 한계가 있고, 그 한계를 극복하는 도구로서 트위터가 떠오르고 있다라고 말하는 글이다. 이 글에서는 검색엔진의 한계를 한정된 첫 페이지에 키워드를 매칭하는 작업의 한계라고 말하고 있다.
크롤링에 걸리는 시간과 데이터 저장에 대한 문제도 언급하고 있지만, 마치 주요 원인은 '키워드'의 한계라고 말하는 듯하다.
선뜻 납득이 가지 않는다. 내 생각은 조금 다르다.
원글에 대한 부연설명이라고 생각하고 읽어주면 감사하겠다.


자, 검색엔진의 예로서, 다른 검색엔진은 제껴두고 구글에 대한 예를 들기로 하자.

구글의 검색엔진은 Page Rank(페이지 랭크)라는 알고리즘으로 유명하다.
페이지 랭크 알고리즘의 기본은, 링크 화살표를 많이 받은 웹 페이지일 수록 높은 점수를 얻는다는 것이다. 마치 남/녀가 미팅을 할 때 처럼, 작대기를 많이 받은 사람이 킹카/퀸카인 것과 같은 이치이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자.
웹사이트 A를 비틀즈의 공식 웹사이트라고 하고, 웹사이트 B를 비틀즈의 팬이 만든  팬 웹사이트라고 하자. 그리고, 사람들이 블로그에 비틀즈에 관한 글을 쓰면서 비틀즈와 관련된 웹사이트로의 링크를 건다고 하자.
그러면 사람들은 어느 웹사이트로 링크를 많이 걸게 될까?
당연히 비틀즈의 웹사이트인 A가 될 것이다. 물론 비틀즈를 언급하면서 겉더리로 비틀즈의 팬사이트를 언급하는 사람은 B로도 링크를 걸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A로 링크를 걸게 될 것이다. 다시 웹사이트 A와 B의 입장으로 돌아가 보았을 때, A는 작대기를 많이 받은 셈이고, B는 상대적으로 덜 받은 셈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작대기의 숫자가 Page Rank가 되는 것이다. Done!

구글은 이 Page Rank를 이용하여 꽤 정확한 검색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 Page Rank에도 부족한 점이 있었으니, 이는 이 어마어마한 인터넷 세상에서 어떤 특정 웹사이트를 위한 Page Rank를 계산하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물론 구글이 꽤 멋진 슈퍼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법 빨리빨리 업데이트를 하고 있지만, 그래도 트위터 같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플랫폼을 따라가긴 역부족이다.
이건 단순히 구글이 키워드만 잡아내어서 검색 결과를 리턴하기 때문이 아니라, 알고리즘 자체의 문제점인 것이다. 구글이 실제로 문서를 크롤링할 때 물론 키워드를 살펴보기도 하지만, SEO(Search Engine Optimizer)가 키워드로 장난을 치는 경우가 더러 있기 때문에, 키워드 뿐만 아니라 문서 전체를 크롤링한다고 알고 있다.

어쨌든, 구글은 알고리즘의 특성상 실시간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는 힘이 들고, 하지만 대세는 모바일 기기로 가고 있고, 구글이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개발하고 서둘러 구글 웨이브라던지 버즈를 만드는 데는 이런 이유가 있는 것이다.


트위터가 요즘 난리다.
한국에서도 트위터 유저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줄 안다.
트위터 멋지다.
하지만 트위터 서비스에도 맹점이 있으니, 아직까지 뚜렷한 비즈니스 모델이 없다는 것이다.
최근 실시간 검색 서비스를 하기 시작했는데, 얼마만큼 유익한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사용자간에 교류하는 것들이 단발성 잡담으로 끝나지 않게, 유익한 무언가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트위터 세상에 떠도는 정보들을 잘 필터링해서 유익한 것들을 잘 뽑아낼 수 있게 기술적인 노력을 더하거나, 혹은 마케팅을 위해 트위터에 관심을 가진 기업들을 위해 트윗 분석도구나 트렌드리포트 같은걸 만들어서 팔아도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